본문 바로가기
아로마테라피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의 추출법 (3): 냉침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by 금침수정 2023. 7. 17.

1.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 추출법: 냉침법 (enfleurage)

 

냉침법은 라드(, 돼지의 기름)가 식물의 방향 성분을 흡착하는 원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에센셜 오일 추출법이다. 냉침법을 이용하면 질 좋은 아로마테라피 용도의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수 있으나, 다른 추출법에 비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대에 들어와서는 비용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냉침법을 많이 활용하지는 않는다. 오늘날에는 연하고 부드러운 꽃잎에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해야 해서 다른 추출법을 통하면 원료가 손상되기 쉬운 로즈 앱솔루트, 자스민 앱솔루트를 만들 때 주로 냉침법을 이용한다.

 

연하고 부드러운 꽃잎에서 아로마테라피 용도의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때 냉침법을 활용한다

 

냉침법을 통해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방을 나무로 둘러서 틀을 만든 유리판의 양면에 라드를 바르고,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꽃잎을 펴서 라드에 올려놓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꽃잎에 함유된 에센셜 오일이 지방에 흡수되면, 기존의 꽃잎을 라드에서 떼어내고 다시 새로운 꽃잎을 라드에 올려놓는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꽃의 에센셜 오일이 지방으로 옮겨져서 흡수된다. 동일한 과정이 3~1달 정도 반복되면 꽃의 방향 성분이 함유된 에센셜 오일이 지방에 포화되는데, 이 혼합물을 포마드(pomade)라고 부른다. 포마드는 몇 차례에 걸쳐 꽃잎을 교체했는지에 따라 포마드 No.가 정해진다. 이후 포마드에서 라드를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을 이용한다. 라드의 지방 성분과 섞여 있던 에센셜 오일이 분리된 후 남은 알코올을 마지막으로 증발시키면 에센셜 오일이 남는데, 이 에센셜 오일도 앱솔루트라고 부른다. 유기 용매로 추출한 것과 구별하여 라드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새시앱솔루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앱솔루트는 증류법으로 추출된 에센셜 오일에 비해 농축되어 있어, 에센셜 오일 특유의 향과 특성을 매우 강하게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적은 양으로도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1-1. 인퓨전 (infusion)

 

인퓨즈드(infused)라고도 불리는데, 오일에 향을 가진 허브 식물을 넣어서 식물에 함유된 에센셜 오일을 우려내는 방법이다. 우선 오일에 닿지 않은 부분에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 전체를 오일에 푹 담근다. 이후 허브가 담긴 오일을 햇빛이 잘 드는 곳에 2~2달가량 보관하면서 중간중간 오일 보관 용기를 흔들어서 허브의 에센셜 오일이 잘 우러나도록 촉진한다. 인퓨전으로 오일을 우려낼 때는 식물의 에센셜 오일로 완전히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적당한 농도가 되었을 때 사용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카렌듈라 오일이나 세인트존스워트 오일을 들 수 있다.

 

2.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 추출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hyper-critical carbon oxide extraction)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은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액체화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식물 원료에서 아로마테라피 용도의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에센셜 오일 추출법 중 가장 최신 기술에 속하는 이 방법은 198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며, 최종 추출된 에센셜 오일에 화학적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열에 의한 변질과 손상도 줄일 수 있는 현대적 기술이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통해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이 적용되는 전 과정 동안 섭씨 33도의 낮은 온도와 200기압의 높은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에센셜 오일이 추출된다. 물질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로 그 형태가 변화하며, 투과 단계에 따라서도 상태가 달라진다. 가해지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질이 고체, 액체, 기체 중 한 가지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몇몇 물질은 초임계 상태, 즉 액체도 아니고 기체도 아닌 상태가 되기도 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에서는 이러한 초임계 상태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식물의 꽃, , 줄기 등의 원료로부터 에센셜 오일을 추출한다. 전체 추출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기체화되어 빠르게 확산되기도 하고, 액체가 되어 용매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식물 원료에 함유된 방향 물질의 용매가 될 때, 임계온도는 섭씨 33도이다. , 섭씨 33도를 넘지 않으면서 높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액체 상태로 용매 역할을 한 후, 압력을 떨어뜨리면 이산화탄소가 기체 상태로 변화한다. 그 후 마지막 단계에서 이전에는 액체 상태였던 이산화탄소와 에센셜 오일이 혼합되어 있던 추출물에서 기체화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면, 순도 높은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추출된 에센셜 오일에는 ‘CO2’라는 상표를 붙인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의 장점은 모든 과정과 조작이 저온, 고압 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열이 가해지지 않아 에센셜 오일 성분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오일의 추출 과정이 몇 분 만에 빠르게 끝나기 때문에 원료의 방향 물질과 용매 사이의 화학 반응도 거의 일어나지 않기에, 식물 원료의 유효 성분이 손상 없이 에센셜 오일 안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높은 압력을 가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용매를 제거할 수 있어, 최종으로 남은 에센셜 오일이 불순물 없이 순도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의 장점이다. 밀폐된 용기 안에서 오일이 추출되기 때문에, 휘발성이 강한 향도 모두 모을 수 있다는 것 역시 이 방법의 대표적인 장점 중 하나이다. 다만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적용할 때 200기압 이상의 고압을 가해야 하므로, 무거운 스테인리스 컨테이너 장치가 포함된 고가의 장비가 갖춰져야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고가의 장비로 추출하다 보니 에센셜 오일의 가격이 높아진다는 점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의 단점이다.

 

 

 

 

댓글